노동법2 부당해고 당했을 때 절대 하면 안되는 3가지! 직장에서 해고 통보를 받는 순간, 누구나 당황합니다.“내가 뭘 잘못했지?”“그냥 조용히 사직서 쓰고 나가야 하나?” 하지만 그 순간의 선택이 당신의 권리를 지킬지, 아니면 잃게 할지를 결정합니다.특히, 많은 사람들이 잘못된 대응으로 법적 권리를 놓치고 있습니다. 오늘은 부당해고를 당했을 때 절대 하면 안 되는 행동 3가지를 알려드립니다. 1. 바로 사직서 쓰는 행동회사에서 이렇게 말할 수 있습니다.“사직서 쓰면 인사기록에 안 남게 해줄게요.”“원만하게 처리하려면 사직서 작성이 필요해요.” 하지만 절대 사직서를 쓰면 안 됩니다.왜냐하면, 사직서를 작성하는 순간 본인 의사에 의한 자발적 퇴사로 간주되기 때문입니다.→ 이 경우, 부당해고 구제신청 불가능 법적 근거:● 근로기준법 제23조는 정당한 이유.. 2025. 7. 21. 수습기간이면 아무 때나 해고 가능? 법이 말하는 진실! 많은 사람들이 이렇게 생각합니다.“수습기간이니까 회사 마음대로 해고할 수 있지 않나?”하지만 이는 큰 오해입니다. 근로기준법은 수습기간이라도 해고에는 명확한 제한을 두고 있습니다.오늘은 수습기간 중 부당해고가 되는 경우와,정당한 해고 기준을 정리합니다. ◆ 수습기간 해고, 법적으로 가능한가?근로기준법 제23조는 이렇게 규정합니다.사용자는 근로자에게 정당한 이유 없이 해고하지 못한다.즉, 정규직이든 수습직이든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해고할 수 있습니다.단, 수습기간은 해고 기준이 조금 완화됩니다.※핵심 포인트:● 입사 후 3개월 이내 수습근로자 → 해고 예고제도(30일 전 통보) 적용 제외 가능● 그러나 정당한 이유 없는 해고는 불법입니다. ◆ 이런 경우는 부당해고입니다 1. 아무 이유 없는 해고“그.. 2025. 7. 21. 이전 1 다음